티스토리 뷰
목차
역대상 24장 본문읽기
1 아론 자손의 계열들이 이러하니라 아론의 아들들은 나답과 아비후와 엘르아살과 이다말이라
2 나답과 아비후가 그들의 아버지보다 먼저 죽고 그들에게 아들이 없으므로 엘르아살과 이다말이 제사장의 직분을 행하였더라
3 다윗이 엘르아살의 자손 사독과 이다말의 자손 아히멜렉과 더불어 그들을 나누어 각각 그 섬기는 직무를 맡겼는데
4 엘르아살의 자손 중에 우두머리가 이다말의 자손보다 많으므로 나눈 것이 이러하니 엘르아살 자손의 우두머리가 열여섯 명이요 이다말 자손은 그 조상들의 가문을 따라 여덟 명이라
5 이에 제비 뽑아 피차에 차등이 없이 나누었으니 이는 성전의 일을 다스리는 자와 하나님의 일을 다스리는 자가 엘르아살의 자손 중에도 있고 이다말의 자손 중에도 있음이라
6 레위 사람 느다넬의 아들 서기관 스마야가 왕과 방백과 제사장 사독과 아비아달의 아들 아히멜렉과 및 제사장과 레위 사람의 우두머리 앞에서 그 이름을 기록하여 엘르아살의 자손 중에서 한 집을 뽑고 이다말의 자손 중에서 한 집을 뽑았으니
7 첫째로 제비 뽑힌 자는 여호야립이요 둘째는 여다야요
8 셋째는 하림이요 넷째는 스오림이요
9 다섯째는 말기야요 여섯째는 미야민이요
10 일곱째는 학고스요 여덟째는 아비야요
11 아홉째는 예수아요 열째는 스가냐요
12 열한째는 엘리아십이요 열두째는 야김이요
13 열셋째는 훕바요 열넷째는 예세브압이요
14 열다섯째는 빌가요 열여섯째는 임멜이요
15 열일곱째는 헤실이요 열여덟째는 합비세스요
16 열아홉째는 브다히야요 스무째는 여헤스겔이요
17 스물한째는 야긴이요 스물두째는 가물이요
18 스물셋째는 들라야요 스물넷째는 마아시야라
19 이와 같은 직무에 따라 여호와의 성전에 들어가서 그의 아버지 아론을 도왔으니 이는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명하신 규례더라
20 레위 자손 중에 남은 자는 이러하니 아므람의 아들들 중에는 수바엘이요 수바엘의 아들들 중에는 예드야며
21 르하뱌에게 이르러는 그의 아들들 중에 우두머리 잇시야요
22 이스할의 아들들 중에는 슬로못이요 슬로못의 아들들 중에는 야핫이요
23 헤브론의 아들들은 장자 여리야와 둘째 아마랴와 셋째 야하시엘과 넷째 여가므암이요
24 웃시엘의 아들들은 미가요 미가의 아들들 중에는 사밀이요
25 미가의 아우는 잇시야라 잇시야의 아들들 중에는 스가랴이며
26 므라리의 아들들은 마흘리와 무시요 야아시야의 아들들은 브노이니
27 므라리의 자손 야아시야에게서 난 자는 브노와 소함과 삭굴과 이브리요
28 마흘리의 아들 중에는 엘르아살이니 엘르아살은 아들이 없으며
29 기스에게 이르러는 그의 아들 여라므엘이요
30 무시의 아들들은 마흘리와 에델과 여리못이니 이는 다 그 조상의 가문에 따라 기록한 레위 자손이라
31 이 여러 사람도 다윗 왕과 사독과 아히멜렉과 제사장과 레위 우두머리 앞에서 그들의 형제 아론 자손처럼 제비 뽑혔으니 장자의 가문과 막내 동생의 가문이 다름이 없더라
본문 묵상
1. 제사장의 직무는 하나님의 선택이다
역대상 24장은 아론 자손인 제사장들과 레위 지파 사람들을 성전 봉사의 순번과 직무에 따라 제비 뽑아 나누는 장면이다. 그 중심에는 다윗 왕과 제사장 사독, 아히멜렉이 있다. 특히 이 장에서는 엘르아살과 이다말의 자손을 통해 제사장들이 구성되며, 제비뽑기를 통해 그들의 순번이 정해진다.
무려 스물네 개의 반열로 나뉜 이 제사장 순번은, 단순한 행정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을 따라 성전에서 봉사할 질서를 세우는 일이었다. 하나님 앞에서의 섬김은 단지 능력이나 연공서열이 아니라, 하나님의 정하심과 말씀에 순복함으로 주어진다.
2. 제비뽑다 — “팔”(פָּלָה)
본문 5절에서 "제비를 뽑아"라는 표현은 히브리어로 ‘팔’(פָּלָה)로, ‘구별하다’, ‘나누다’, ‘선택하다’의 의미를 가진다. 여기서 제비뽑기는 단순한 확률 게임이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적인 선택이 드러나는 방식이다.
이스라엘 역사 속에서 제비뽑기는 종종 하나님의 뜻을 구할 때 사용되었다. 이는 사람이 중심이 아니라, 하나님이 중심이 되는 섬김의 자리를 보여주는 상징적 행위다. ‘팔’은 인간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하나님의 주권을 최대한 드러내는 방식이었다.
3. 예수님, 우리의 대제사장이시다
이처럼 반열로 나뉘어 봉사하던 제사장 제도는 결국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완성되었다.
히브리서 7장은 예수님이 레위의 반열이 아닌 멜기세덱의 반차를 따라 오신 참된 대제사장이심을 강조한다. 예수님은 날마다 반복되는 속죄 제사를 드릴 필요 없이 단 한 번의 완전한 제사로 영원한 속죄를 이루셨고, 지금도 하늘 보좌 우편에서 우리를 위해 중보하시는 영원한 대제사장이시다.
이제 우리는 제비뽑혀야만 성전에서 봉사할 수 있는 존재가 아니다.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하나님 나라의 제사장(벧전 2:9)으로 부름 받는다. 그 부르심은 세상적인 순서가 아닌, 하나님의 은혜 가운데 이루어진다.
하나님이 정하신 순서에 순복하는 믿음
제비뽑혀 순서를 정한 스물네 제사장의 반열, 그리고 레위 지파 각 가문에 따른 봉사의 자리. 이 모든 것은 무작위처럼 보이지만, 하나님의 뜻 안에서 이루어진 섬김의 질서였다.
하나님께서 주시는 자리와 역할은 각자 다르지만, 그 중요성은 결코 크고 작음이 없다. 제사장 아비야의 반열은 누가 보아도 흔한 이름일 수 있었지만, 누가복음 1장에서는 그 반열에 속한 제사장 사가랴가 등장한다. 그리고 그 사가랴의 아들로 태어난 이는 바로 예수님의 길을 예비한 세례 요한이다.
하나님의 질서와 순서를 신뢰하라. 하나님이 정하신 자리에는 의미가 있다. 나의 오늘의 순번, 나의 지금의 섬김은 결코 우연이 아니며, 하나님이 세우신 자리이다.
나의 반열은 어디인가? 주님께서 주신 자리에서 묵묵히, 성실히, 기쁘게 섬길 때, 하나님의 성전은 세워지고 하나님의 나라가 임한다. 오늘도 주어진 위치에서 예배자로 살기를 소망한다.
“이와 같은 직무에 따라 여호와의 성전에 들어가서 그의 아버지 아론을 도왔으니 이는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명하신 규례더라.” (역대상 24:19)
-송병민목사-
'아침묵상 매일성경(성서유니온) > 2025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성경 아침묵상] 성전을 섬기는 이들 (대상26:1-32) (2) | 2025.06.26 |
---|---|
[매일성경 아침묵상] 예배 사명자 (대상 25:1-31) (1) | 2025.06.25 |
[매일성경 아침묵상] 레위인의 조직과 직무 (대상23:1-32) (1) | 2025.06.23 |
[매일성경 아침묵상] 역대상 22:1-19 | 하나님의 집을 준비하는 마음 by Songbyungmin (0) | 2025.06.22 |
[매일성경 아침묵상] 역대상 21:18-30 | 오르난의 타작 마당 by Songbyungmin (0) | 2025.06.21 |